공지/소식


공지/소식

활동소식

재단 활동 소식입니다.


mobile background

활동소식

[연중기획/11월] 청년 모두가 웃는 그날까지! 인천청년광

2024-12-16
조회수 115

안녕하세요, (사)인천시민재단입니다.

  2007년, 인천 지역사회에서 활동하는 시민단체들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사)인천시민재단은 매해 인천 지역 시민단체를 대상으로 모범 사례를 공모하여 시상, 소정의 상금을 지급하는 <인천 풀뿌리시민운동상> 을 진행해왔습니다.

  2024년 (사)인천시민재단은 인천투데이와 함께 연중기획으로 인천에서 풀뿌리시민운동을 하며 ①지역사회 발전과 ②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단체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11번째 인터뷰 대상은<인천청년광장>입니다.

1. 2015년 ‘새로운 사회를 창조하는 인천청년광장’이 설립되었는데요. 단체가 설립하게 된 배경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새로운 사회를 창조하는 인천청년광장’은 청년문제 해결을 위해, 새로운 사회로 전환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5년 설립됐습니다. 우선 청년이라는 세대는 특수성이 있는데요. 청년은 인생의 주요 과업이라고 불리는 일자리, 주거나 생활의 독립 등을 이행하는 이행기지만 사실 이행이 잘 안되는게 현실입니다. 청년 시기에 과업 이행이 지체가 되면 그 이후 인생의 격차가 기하급수적으로 벌어집니다. 노동시장의 문제, 부동산의 문제, 불평등의 문제 등 거시적 문제를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청년 문제 해결이 어렵기에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새로운 사회로 전환을 도모하는 단체인 인천청년광장을 설립하게 됐습니다."


2. 단체 이름이 ‘청년광장’인 만큼, 사업 대상이 청년들 중심일 것 같은데요. 현재 인천청년광장에서 청년 대상으로 진행하는 사업이 있다면, 사업에 대한 간략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인천청녕광장은 현재 ‘기후위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117년만에 대설이 왔는데 청년과 더 어린 세대들은 기상 이변과 재난을 일상에서 끊임없이 겪고 적응해야 하는 세대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지역의 생활권 안에서 기후위기라는 문제를 해석하고 구체적인 이해관계를 가져야 한다는 생각에서 지난해부터 청년그린리더 양성과정을 시작했습니다. 인천지역 청년들을 대상으로 기후위기가 무엇인지, 책도 읽고, 세미나도 했으며 직접 국내 곳곳의 기후 관련 현장을 탐방했습니다. 양성과정에 참여한 청년들은 자신들이 다니고 있는 경인교대, 인천대, 인하대 등 대학에서 하반기에 ‘기후위기 시대에 우리 대학에 무엇이 필요할까’를 주제로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이 활동은 올해 인천시 비영리민간단체 우수사례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3. 청년광장에서는 2023년 7월부터 2024년 1월까지 인천 남동국가산업단지와 서울 디지털산업단지에서 일하고 있는 청년노동자(39세 이하 청년)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준비를 진행했는데요. (연구명: 청년노동자 실태 파악을 위한 면접조사) 사업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연구조사를 통한 결과는 어떠한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먼저 이 조사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코로나19 이후 노동시장이 큰 타격을 받았는데 청년노동자에게 어떤 변화가 있는지 궁금했기 때문입니다. 설문조사는 인천과 서울을 합쳐서 810건 정도 진행했고, 조사를 통해 저임금 노동자가 상당하다는 점과 수당 미지급의 문제, 포괄임금제에 개선이나 폐지가 필요하다는 점, 쉴 권리가 보장되고 있지 않다는 점 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기본급이 최저임금 수준으로 맞춰져 있고 본인 선택의 여지보다는 취업을 시켜주는 곳으로 입사해야 하는 상황이고, 일자리에 맞춰 주거공간이 이동을 한다거나 가족형태가 바뀐다거나 하는 어려움이 있는 것도 확인했습니다.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일하고 싶은 사람은 더 일하게 해준다고 해 파문이 일었는데, 당시 인천청년광장이 만난 청년노동자들은 워라벨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대신 일한 만큼 제대로 된 임금을 받고 싶어 한다는 이야기를 많이 했습니다. 저임금 보충을 위해 일을 여러개 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는 것도 확인했습니다.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문제를 논문과 책으로 보다 사람들의 이야기로 직접 들을 수 있는 조사였습니다."


4. 앞으로의 인천청년광장의 목표와 향후 계획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현 정부가 들어서면서 청년단체를 포함한 시민사회에 대한 정부의 재정 지원이 끊기면서 어려움이 많으나, 지속가능성을 위한 재정 확보를 위해서도 노력할 것입니다. 그리고 앞으로 청년의 문제 해결과 청년 역량 강화를 위해 더 노력할 것입니다."



청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인천청년광장>을 응원합니다!



기사를 읽고 싶은 분은 아래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인천투데이 기사원문 보러가기






1 0

사단법인 인천시민재단

고유번호 : 131-82-64639

(우:22302) 인천 중구 반달로 14번길 14, 더꿈빌딩 4층

Tel. 032-437-8311

E-Mail : incheonfund@hanmail.net

Copyright @2021 Social-innovation Meta Platform All rights reserved.

사단법인 인천시민재단

고유번호 : 131-82-64639

인천 중구 반달로 14번길 14, 더꿈빌딩 4층

Tel. 032-437-8311

Copyright @2021 Social-innovation Meta Platform All rights reserved.